응강게 음붐베 니암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강게 음붐베 니암비는 로앙고 군주국의 귀족 출신으로, 1665년 로앙고 군주국의 제17대 군왕이 된 인물이다. 그는 콩고 왕국 국왕 가르시아 2세의 사위인 안토니우 1세에 의해 로앙고 군주국 총수상에 임명되었고, 이후 안토니우 1세로부터 왕위를 선위받았다. 니암비 응궁구는 1689년 사망할 때까지 로앙고 군주국을 통치했으며, 그의 직계 후손들이 1883년 멸망할 때까지 왕위를 세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총리 - 수상
수상은 국가의 행정부 수반으로서 정치 체제에 따라 지위와 권한이 다르며, 의원내각제 국가에서는 다수당 당수가 되어 행정부를 이끌지만 대통령제 국가에서는 대통령의 역할로 인해 권한이 축소될 수 있고, "총리", "국무총리", "수석장관"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 총리 - 내각 수상
내각 수상은 각료회의를 이끄는 직책으로, 정부 수반 또는 행정부 수반으로서 내각 구성, 정책 결정, 국가 대표의 역할을 수행하며, 여러 국가와 유럽 연합, 러시아-벨라루스 연합국 등 초국가적 기구에서 총리 또는 이와 유사한 직책으로 사용된다. - 1689년 사망 - 김수항
김수항은 서인 및 노론의 중진으로 예송 논쟁에서 서인 측 입장을 대변하고 영의정을 역임했으나 기사환국으로 유배되어 사사된 조선 시대 문신이다. - 1689년 사망 - 효의인황후
효의인황후는 청나라 강희제의 황후이자 옹정제의 양모로, 귀비에서 황귀비를 거쳐 황후가 되었으나 자녀는 없었고 옹정제 교육에 힘썼으며, 옹정제 즉위 후 시호를 받고 태묘에 배향되었다. - 17세기 아프리카의 군주 - 페드루 4세
페드루 4세는 17세기 후반 콩고 왕국의 왕으로 아구아 로사다 가문의 창시자이며, 왕위 계승의 어려움 속에서 왕국의 안정화를 위해 노력했고, 경쟁 가문 간 왕위 교대 계승 유언을 남겼다. - 17세기 아프리카의 군주 - 베르나르두 2세
응강게 음붐베 니암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로앙고 군주국 응강게 음붐베 니암비 총수상 및 군왕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응강게 음붐베 니암비 |
원래 이름 | N'Gangue M'voumbe Niambi |
왕조 | 로앙고 왕실 |
왕가 | 로앙고 왕가 |
출생일 | 1644년 2월 29일 |
출생지 | 로앙고 군주국 부알리 |
사망일 | 1689년 12월 15일 |
사망지 | 로앙고 군주국 부알리에서 병사 |
정치 경력 | |
작위 | 로앙고 군주국 총수상 |
군주 | 안토니우 1세(자형) |
재위 시작 | 1663년 3월 1일 |
재위 종료 | 1665년 1월 23일 |
작위 2 | 로앙고 군주국 제17대 군왕 |
전임자 2 | 안토니우 1세(자형) |
재위 2 시작 | 1665년 1월 23일 |
재위 2 종료 | 1689년 12월 15일 |
정당 | 무소속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왕비 1명 |
자녀 | 3남 3녀 |
친인척 | 안토니우 1세(자형) 가르시아 2세(윗사돈) |
2. 생애
니암비 응궁구는 로앙고 부알리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1646년, 그의 누나가 콩고 왕국 군왕 가르시아 2세의 아들 안토니오와 결혼하면서 콩고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다.[1] 1655년에는 키토나 출신의 여성과 결혼하였다.[1]
1660년 12월 23일, 윗사돈 가르시아 2세가 사망하자 그의 매형인 안토니우 1세가 콩고 왕국의 왕위를 계승하였다.[1] 1663년 3월 1일, 안토니우 1세는 자신의 처남인 응강게 음붐베 니암비를 로앙고 군주국 총수상(총리)에 임명하였다.[1]
1665년 1월 23일, 안토니우 1세는 로앙고 군주국의 실정 정국을 견디지 못하고, 당시 로앙고 군주국 총수상이었던 응강게 음붐베 니암비에게 로앙고 군주국 군왕 보위를 선위하였다. 이로써 니암비는 로앙고 군주국의 제17대 군왕이 되었다. 그는 콩고 왕실 외척 귀족 출신으로, 콩고 왕실 출신이 아닌 인물로는 최초로 로앙고 군왕에 오른 인물이 되었다. 이로써 콩고 왕국 군왕이 로앙고 군주국 군왕을 겸직하던 시대는 약 115년 만에 막을 내리게 되었다.
니암비는 군왕 보위에 오른 지 1개월 후인 1665년 2월 3일에 슬하 3남 3녀 중 장남(첫째 딸이 맏아이이기에 남매 관계 순서로는 둘째)을 왕태자로 책봉하였다.
1883년 로앙고 군주국이 멸망할 때까지 니암비 제17대 로앙고 군왕의 직계 후손들에게 로앙고 군왕 보위가 세습되었다.
1689년 12월 15일, 니암비 응궁구는 45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1]
2. 1. 로앙고 귀족 출신
니암비 응궁구는 로앙고 부알리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1646년, 그의 누나가 콩고 왕국 군왕 가르시아 2세의 아들 안토니오와 결혼하면서 콩고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게 되었다.[1] 1655년에는 키토나 출신의 여성과 결혼하였다.[1]2. 2. 콩고 왕국과의 관계 및 로앙고 총수상 임명
1660년 12월 23일, 윗사돈 가르시아 2세가 사망하자 그의 매형인 안토니우 1세가 콩고 왕국의 왕위를 계승하였다.[1] 1663년 3월 1일, 안토니우 1세는 자신의 처남인 응강게 음붐베 니암비를 로앙고 군주국 총수상(총리)에 임명하였다.[1]2. 3. 로앙고 군왕 즉위
1665년 1월 23일, 안토니우 1세 콩고 왕국 군왕 겸 로앙고 군주국 군왕은 재위 중 로앙고 군주국의 실정 정국을 견디지 못하고, 당시 로앙고 군주국 총수상이었던 응강게 음붐베 니암비에게 로앙고 군주국 군왕 보위를 선위하였다. 이로써 니암비는 로앙고 군주국의 제17대 군왕이 되었다. 그는 콩고 왕실 외척 귀족 출신으로, 콩고 왕실 출신이 아닌 인물로는 최초로 로앙고 군왕에 오른 인물이 되었다. 이로써 콩고 왕국 군왕이 로앙고 군주국 군왕을 겸직하던 시대는 약 115년 만에 막을 내리게 되었다.니암비는 군왕 보위에 오른 지 1개월 후인 1665년 2월 3일에 슬하 3남 3녀 중 장남(첫째 딸이 맏아이이기에 남매 관계 순서로는 둘째)을 왕태자로 책봉하였다.
1883년 로앙고 군주국이 멸망할 때까지 니암비 제17대 로앙고 군왕의 직계 후손들에게 로앙고 군왕 보위가 세습되었다.
2. 4. 왕태자 책봉 및 사망
1689년 12월 15일, 니암비 응궁구는 로앙고 군왕 보위에 등극한 지 24년 만에 45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1]3. 친인척 관계
- 자형: 안토니우 1세 콩고 왕국 군왕
- 윗사돈: 가르시아 2세 콩고 왕국 군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